맨위로가기

우봉 이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봉 이씨는 신라의 이두창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 문하시중을 지낸 이공정을 시조로 하며, 황해도 금천군 우봉면을 본관으로 한다. 고려 시대 이자성은 몽골 침략을 막아내는 데 기여했고, 일제강점기에는 친일파 이완용을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이공정, 이자성, 이완용, 이병도, 이어령 등이 있으며, 집성촌은 황해도 금천군, 충남 보령시, 충북 청주시 등에 분포한다. 2015년에는 약 2만 4천 명의 인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봉 이씨 - 이병린
    이병린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변호사로 활동하며 서울변호사회 부회장, 대한변호사협회 회장을 역임했고, 6.3 사태 당시 비상계엄 해제를 요구하며 구속되었으며,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공동대표와 유신헌법 철폐 운동을 주도하며 인권 운동에도 힘썼고, 법치주의 확립과 사법권 독립을 강조하며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인물이다.
  • 우봉 이씨 - 이어령
    이어령은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소설가, 언론인, 교수, 국어학자이자 초대 문화부 장관을 역임한 공무원으로, 사회 비평, 교육 활동, 올림픽 기획, 저술 활동 등을 통해 한국과 일본, 디지털 시대 문명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고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우봉 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관향황해북도 금천군 우봉면
성씨우봉 이씨
牛峰李氏
나라한국
시조이공정(李公靖)
집성촌황해도 금천군
충북 옥천군 이원면
충북 청주시 가덕면
경북 문경시
경기 양평군
주요 인물이자성
이승건
이숙
이만성
이재
이채
이휘정
이광문
이호준
이호익
이호철
이윤용
이완용
이항구
이병도
이병길
이병임
이병주
이병훈
이기녕
이춘녕
이어령
이장무
이건무
이영범
년도2015
인구23,902명

2. 역사

신라의 우장군 이두창(李頭昌)을 원조로 하나 기록이 실전되어, 고려 시대 문하시중을 지낸 이공정(李公靖)을 시조로 삼는다. 이공정의 아들 이자성몽골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공을 세웠다.

조선 시대에는 황해도관찰사 이길배, 함경도관찰사 이승건, 우의정 이숙, 이조판서 이만성, 영조의 국구 서종제의 처인 잠성부부인 이씨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는 내각총리대신을 지낸 이완용 후작과 그의 이복형 이윤용 남작, 차남 이항구 남작 등 주요 친일파 인물들이 나오기도 하였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대한민국의 문교부장관을 지낸 역사학자 이병도, 문화부 장관을 지낸 이어령, 서울대 총장 이장무, 문화재청장 이건무, 봉명그룹 창업주 이동녕 등 학계, 정관계, 재계, 문화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이 있다.

2. 1. 시조 및 본관

우봉 이씨(牛峰李氏)의 원조는 신라의 우장군이었던 이두창(李頭昌)이다. 그는 뛰어난 지략으로 옥저(沃沮)로부터 양마 200필을 헌납하게 한 공으로 공신이 되었다. 그러나 이후 후손에 대한 기록이 전해지지 않아, 고려 시대의 이공정(李公靖)을 시조로 삼고 있다.

시조 이공정(李公靖)은 고려 시대 인물로,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그는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벽상공신(壁上三韓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으며, 잠성부원군(岑城府院君)에 봉해졌다. 또한 우봉(牛峰), 잠성(岑城) 등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그곳에 정착하면서 본관을 우봉으로 삼게 되었다. 그의 아들 이자성(李子晟) 역시 고려 시대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으며, 몽골의 침략을 막고 여러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 후대에 이르러 일제 강점기의 대표적인 친일파 인물인 이완용 후작을 배출하였다.

본관인 우봉(牛峰)은 현재의 황해도 금천군 우봉면에 해당하는 옛 지명이다. 그 역사적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대연도명칭 및 소속 변경
고구려-우잠(牛岑) 또는 우령(牛嶺), 수지의(首知衣)로 불림
신라757년 (경덕왕 16년)우봉(牛峰)으로 개칭
고려1015년 (현종 6년)평주현(平州縣)에 예속
고려1062년 (문종 16년)개성부에 예속
조선1395년 (태조 4년)현(縣)으로 승격
조선1413년 (태종 13년)황해도에 속하게 됨
조선1469년 (예종 1년)감무(監務) 설치
조선1652년 (효종 3년)강음(江陰)과 합쳐 금천군으로 개칭


2. 2. 고려 시대

고려 시대 인물인 이공정(李公靖)을 시조로 한다.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이공정은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벽상공신(壁上三韓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고 잠성부원군(岑城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는 우봉(牛峰)과 잠성(岑城) 등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정착하면서 우봉을 관향(貫鄕)으로 삼았다. 그의 아들 이자성(李子晟) 역시 고려 시대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으며, 몽골 침략을 막아내고 여러 반란을 진압하는 공을 세웠다.

2. 3. 조선 시대

(작성할 내용 없음)

2. 4.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에는 정치인 이완용 후작을 배출하였다.

2. 5. 현대

일제강점기에는 대표적인 친일반민족행위자로 평가받는 이완용 후작이 나왔다.

3. 주요 인물

우봉 이씨는 고려조선 시대에 걸쳐 이자성, 이숙 등 여러 문신과 고위 관료를 배출한 가문이다. 조선 후기에는 영조정성왕후의 어머니인 잠성부부인 이씨를 통해 왕실과도 인연을 맺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는 이완용, 이윤용, 이항구와 같이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된 인물들이 활동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서는 학계에서 이병도, 이어령, 이장무, 이건무 등이 활동했으며, 정계 및 재계에서는 봉명그룹과 아세아그룹을 중심으로 한 이동녕 일가 등이 있다. 또한 이병훈, 이범수 등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인물을 배출하였다.

3. 1. 고려-조선 시대

3. 2.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 시기 우봉 이씨 가문에서는 대표적인 친일파 인물들이 활동하였다.

  • 이완용: 대한제국내각총리대신, 학부대신, 외부대신 등을 역임하였으나, 한일 병합 과정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한 대가로 조선귀족 후작 작위를 받았다. 대표적인 친일 인물로 꼽힌다.
  • 이윤용: 형조판서, 대한제국 군부대신, 농상대신 등을 지냈으며, 이완용의 이복 형이다. 주요 친일파로 활동하며 조선귀족 남작 작위를 받았고, 한성은행 은행장을 역임했다.
  • 이항구: 이완용의 차남으로, 아버지의 작위를 세습하고 이왕직 장관을 지내는 등 주요 친일파로 활동하며 조선귀족 남작 작위를 받았다.

3. 3. 현대


  • 이완용: 주요 친일파.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학부•외부대신을 지냈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귀족 후작 작위를 받았다.
  • 이윤용: 주요 친일파. 조선 형조판서, 대한제국 군부•농상대신을 역임했고, 조선귀족 남작 작위를 받았다. 한성은행 은행장을 지내기도 했다. 이완용의 이복 서형이다.
  • 이항구: 주요 친일파. 이왕직 장관을 지냈고, 조선귀족 남작 작위를 받았다. 이완용의 차남이다.
  • 이병도: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문교부 장관을 역임했다.
  • 이어령: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와 문화부 장관을 지냈다. 이병도의 7촌 조카이다.
  • 이장무: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이병도의 친손자이다.
  • 이건무: 문화재청장과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냈다. 이병도의 친손자이다.
  • 이동녕: 제4•6•7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봉명그룹 창업주이다.
  • 이세무: 前 봉명그룹 회장이다. 이동녕의 장남이다.
  • 이병무: 아세아그룹 명예회장이다. 이동녕의 차남이다.
  • 이승무: 제14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前 봉명그룹 부회장이다. 이동녕의 3남이다.
  • 이윤무: 아세아제지 명예회장이다. 이동녕의 4남이다.
  • 이훈범: 아세아그룹 회장이다. 이병무의 장남이다.
  • 이인범: 아세아그룹 부회장이다. 이병무의 차남이다.
  • 이현범: 우신벤처투자 전무이다. 이윤무의 장남이다.
  • 이병훈: MBC PD이다.
  • 이범수: 배우이다.

4. 분파 및 집성촌

(작성할 내용 없음)

4. 1. 집성촌

우봉 이씨의 집성촌은 본관 소재지인 황해도 금천군 우봉면을 비롯하여 여러 지역에 분포한다. 주요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5. 인구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4,278가구17,513명
2000년6,388가구20,525명
2015년23,902명


6. 항렬표

wikitext

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
口용(用)口구(九)병(丙)口녕(寧)
口형(衡)
무(茂)口범(範)강(康)口재(宰)성(聖)口규(揆)학(學)口건(建)인(寅)口경(卿)진(震)口선(選)년(年)口업(業)口보(輔)口준(遵)성(成)口현(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